티스토리 뷰

가상화폐, 비트코인이라는 단어가 이제는  많이 익숙해졌지만 블록체인,  NFT 등의 용어는 아직도 생소하시다고요?  지금부터 가상화폐와 연관되어 있는 비트코인,  블록체인, NFT 등의 용어와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상화폐

 

 

가상화폐, 일명 '코인', 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통화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학계와 산업에서는 '암호화폐' 또는 '크립토'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중앙 정부의 보호, 보증 및 통제 아래에서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실제 화폐와 혼동되며 가치 인식의 차이 등을 이유로 가상 자산이라고 불립니다.

 

'교환 매체' 또는 '계정 단위'의 기능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전통적인 통화 또는 화폐 용어가 적용될 수 없다는 금융 당국의 견해입니다.

 

가상자산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며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증서를 가리킵니다.

 

거래의 형태와 특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블록체인의 암호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통화 관련 용어에는 '암호화폐', '크립토', '가상 자산', '크립토 자산', '디지털 자산', '가상 통화', '코인', '토큰', 그리고 '비트코인' 등이 있습니다.

 

가상 자산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암호화폐 이전에도 디지털 화폐를 만드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중 지불 문제를 해결할 체계가 없었습니다. 이는 디지털 자산은 복제와 위조로부터 보호되어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가상자산 거래소

 

 

 

말 그대로 가상자산을 거래하는 인터넷 거래 서비스로, 일반 화폐로 가상자산을 구매(환전)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가상자산을 일반 화폐로 환전(판매)할 수 있습니다.

 

실물 경제에서 원화를 달러화로, 달러화를 원화로 바꾸는 것과 유사하며 대표적인 국내 거래소로는 업비트, 빗썸 등이 있으며 해외거래소로는 바이낸스, 비트 파이넥스, 비트 플라이어, 코인체크 등이 있습니다. 

 

 

블록체인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서, 암호화폐 거래의 무결성과 보안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기술은 거래 기록을 블록이라 불리는 작은 체인 형태로 묶어 연속성을 유지하며, 중앙 서버가 아닌 네트워크 참여자들에 의해 공동으로 관리됩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분산화: 블록체인은 중앙화된 서버가 없이 여러 컴퓨터 노드에 거래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합니다. 이는 단일 관리자나 중앙 기관의 통제를 피하고 전체 네트워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강화합니다.

 

암호화: 블록체인은 각 거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거래는 개인키와 공개키의 조합으로 서명되며, 이를 통해 거래의 인증과 안전한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무결성과 변경 불가능성: 한 번 기록된 블록은 수정이 불가능하며 이전 블록과 연결되어 있어 과거 거래 기록의 변조를 방지합니다.

 

합의 메커니즘: 거래가 블록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참여자들 간에 합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블록체인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합니다.

 

 

 

 

투명성과 개인 정보 보호: 블록체인은 거래 내역을 공개적으로 기록하지만, 거래에 연결된 개인 정보는 암호화되어 보호됩니다.

 

스마트 계약: 일부 블록체인 플랫폼은 스마트 계약이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예를 들어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자산을 분배하거나 계약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퍼블릭 vs 프라이빗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퍼블릭 블록체인과 제한된 접근을 갖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나뉩니다. 암호화폐에 사용되는 블록체인은 일반적으로 퍼블릭 블록체인이며, 이는 누구나 거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술로 만든 최초의 암호화폐가 비트코인으로 대표적 가상자산이고 현재는 가상자산의 대명사가 됐습니다.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라는 가명의 인물이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논문을 2008년 10월 31일에 공개했고, 이를 기반으로 2009년 1월 3일에 첫 블록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2013년을 기점으로 비트코인이 여러 매체를 통해 ‘Virtual currency’ 즉 가상화폐로 알려졌으며 비트코인의 특성이 가상화폐에 부합하지 않아, 새롭게 생겨난 단어가 바로 ‘Crypto-currency’, 암호화폐로 이는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암호화폐이자, 디지털 결제 시스템입니다.  P2P(Peer- to -Peer) 시스템으로 중개자 없이 사용자 간의 직접적인 교환으로 이루어지는 화폐입니다. 

 

비트코인의 오픈 소스코드를 몇 가지 수정한 암호화폐, 그리고 블록체인과 개념과 동작 원리는 동일하지만 다르게 구성, 구현된 암호화폐 등이 이어 탄생하게 됐는데, 비트코인의 대안/보조적 성격을 지닌다 하여 이들 암호화폐를 ‘알트코인(Alternative coin)’이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즉 알트코인은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코인들을 일컬으며 대표적인 알트코인으로 이더리움, 리플 등이 있습니다.

 

 

 

그 밖의 용어 

 

 

토큰: 많은 사람들은 종종 "코인"과 "토큰"이라는 용어를 가상 자산을 지칭할 때 서로 바꿔 사용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그들의 발행 환경에 차이가 있습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독립적인 메인넷에서는 보통 하나의 "코인"만 (주 메인넷의 주요 통화로 작용) 발행되며 블록체인 작업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반면 "토큰"은 특정 목적을 위해 생성되고 발행됩니다. 토큰의 가치와 거래 가격은 의도한 목표 달성 정도에 따라 인정되며 증가하게 되며 메인넷은 다양한 목적을 가진 토큰을 발행합니다.

 

ICO (Initial Coin Offering): "IPO" (초기 공개 발행)에서 유래한 이 용어는 주식의 공개 발행을 나타내며 ICO는 "Initial Coin Offering" 또는 암호화폐 (가상 자산)의 공개 발행을 의미합니다.

 

이는 새로운 가상 자산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투자자로부터 초기 개발 자금을 모으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궁극적으로 코인이 거래소에 등록되는 것이 목표이며, 일반 투자자들은 등록된 가상 자산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전자 지갑: 가상 자산은 무형의 디지털 자산이므로 개인의 디지털 또는 전자 지갑 내에서 저장 및 활용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자산은 보이지 않으며 익명성에 의해 유지되므로 이러한 지갑은 안전한 저장을 보장하며 가상 자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NFT (Non-Fungible Token):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하며, 동일 블록체인 내에서 다른 토큰으로 대체할 수 없는 고유한 가상 자산을 나타냅니다.

 

NFT는 가상 자산의 소유권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비디오 게임, 아트워크, 부동산 및 디지털 콘텐츠와 같은 기존 자산의 디지털 토큰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전체 소유권 이력은 블록체인에 안전하게 저장되어 위조와 조작을 방지하며 누구나 언제든지 NFT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동아일보] 가상자산을 제대로 알기 위한 첫 단계 - 용어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