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 지형
천도 당시의 서울은 주로 도성 안을 말한다. 이를 지형적으로 보면 북쪽으로 북악산, 동쪽에 낙산, 남쪽에 남산, 서쪽에 인왕산의 이른바 옛 성곽이 축조되었다. 산 능선에서 좀 낮아진 안부에 사대문을 만들어 외부와의 교통로로 하였다.
그중 남대문이 있는 일대는 약간 높은 구릉지에 불과하였다. 현재의 남대문 주변은 구름같이 보이지 않으나 이곳이 서울을 남서사면의 용산 및 서대문 방면과 북동사면의 종로 및 을지로 방면을 가르는 분수령이다. 서울의 중심을 흐르는 청계천이 남쪽으로 곧바로 흘러 한강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동쪽으로 흘러 서울분지를 지나서야 한강으로 유입하는 것은 남산. 남대문. 서대문으로 이어지는 분수령이 있기 때문이다.
도성 안의 서울 중심부는 오랜 역사를 통해서 인공적으로 많이 변화되었기 때문에 옛 지형을 알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예부터의 지명이나 여러 가지 흔적을 세밀히 관찰하면 원지형을 살펴볼 수 있다. 도성 안은 주위가 북악산. 낙산. 인왕산 등으로 둘러싸이고 많은 작은 산줄기, 이른바 산막이 분지 안쪽으로 뻗어 내려와 있다.
이 작은 산줄기는 북쪽 북악산에서 남쪽으로, 남쪽 남산에서 북쪽으로 여러 줄기가 뻗어 내려 낮은 능선과 골짜기를 이루었다. 그리고 중앙의 종로, 청계천 일대는 주변 산지와 계곡에서 운반되는 토사로 평지를 이루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종로와 청계천로는 동대문에서 광화문에 이르는 사이에 거의 기복이 없다. 그러나 그 뒤에 있는 퇴계로나 율곡로는 상당한 오르내림이 있음을 현재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로와 청계천로 일대에는 산릉을 넘는 고개는 없었으나 그 외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길에는 많은 고개가 있었다. 이러한 고개는 지형을 변형시켰고 건축물들이 들어서 있어서 쉽게 알아보기 어려우나 지명으로 남아있는 예가 많다.
북악산에서 주로 남쪽으로 뻗어 있는 산각의 고개들을 찾아보면 삼선교에서 혜화동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동소문고개이고, 혜화동. 명륜동에서 뻗어 내린 작은 산줄기를 넘는 고개가 서울대병원과 창경궁 정문 북쪽 사이의 박석고개이다. 그 남쪽 동대문경찰서 부근에서 종로 5가로 넘어가는 고개가 배고개이다. 원남동에서 율곡로로 들어서는 길이 상당히 가파르며 창경궁과 종묘 사이를 지나는데 여기에는 고개 이름이 없었다. 그것은 조선시대에는 없었던 길이고, 일제가 창경궁과 종묘를 끊어 길을 만들어 건양현이라고 불렀다. 그 서쪽에는 계동의 고지가 있고 현대건설 앞길에는 조선시대 기상 대였던 관상감이 있어 관상감 현이라고도 하고 그 전신인 서운관 자리라 하여 운현이라 하였으며 그곳에 운현궁이 있다. 그다음 가회동의 지맥이 한국일보사에 이르는데 그 앞길은(조선시대에는 그 남쪽) 송현이고 그 북쪽이 송현동이다. 이 작은 산줄기는 북쪽으로 삼청동에 이르는데, 그 북쪽 전 경기고등학교 북쪽의 고개가 맹현이다.
인왕산도 많은 산줄기를 뻗고 있다. 내자동 부근을 남정문현, 당주동 중부를 야주현, 누상동 서쪽이 누각현이다. 서울시청에서 광화문으로 가는 길도 언덕이 있었고 광화문 사거리 부근에 황토현이 있었다. 인왕산 서사면에는 현저동 서쪽에 통일로로 통하는 유명한 무악재가 있다. 남산 북사면의 지맥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동국대학교가 자리 잡은 줄기이다. 이 줄기는 충무로에서 을지로까지 뻗는데 여기에 풀무고개 혹은 대장고개가 있었다.
그 서쪽에 또 한줄기가 을지로로 다가오는데 여기가 인현이고 을지로를 횡단하는 근방에 구리개가 있었다. 그 서쪽 줄기는 충무로를 지나는데서 진고개가 되고 명동성당이 있는 종현이 된다. 남산 남쪽은 후암동에서 용산고등학교에 이르는 일대에는 밤고개, 남단현, 우수재 등 3개의 고개가 있다. 이 밖에도 마포로 나가는 아현, 신촌으로 나가는 대현, 의정부로 나가는 미아리고개, 청량리에서 양주로 나가는 망우리고개 등이 있다.
북악 기슭에 경복궁, 창경궁, 인왕산 기슭 지맥에 경희궁, 덕수궁이 자리 잡았으며 궁인, 귀족, 관인 등의 저택지도 이러한 지맥이나 그 주변 지역의 언덕에 자리 잡고 있었다. 조선시대 서울의 중심부는 현재와 같이 평탄한 저지는 많이 없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선시대 서울 중심부의 지형은 근대적인 도시계획인 진행되는 과정에서 고개들이 깎이고 대형 건축물이 서게 되면서 옛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서울의 지질
한국의 수도인 서울은 한국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고 한강의 둑에 위치해 있습니다. 서울의 지질학은 퇴적암, 화산암, 변성암의 조합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것은 수백만 년 동안의 지각 활동과 침식에 의해 형성되어 왔습니다. 서울의 기초가 되는 암반은 주로 화강암, 편마암,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모두 오래된 암석의 압축과 가열에 의해 형성된 변성암입니다.
이 바위들은 풍화와 침식에 매우 강하고 도시의 건물과 기반 시설에 강력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변성암 외에도, 서울은 또한 몇몇 활화산과 활화산 근처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 도시의 동쪽에, 태백산맥은 한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한라산을 포함한 몇몇 활화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의 화산암은 주로 현무암과 안데스사이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용암이 냉각되고 응고되면서 형성됩니다. 서울은 또한 2억 5천만 년 전 고생대에 형성된 거대한 퇴적암 지역인 경기 매시프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퇴적암들은 사암, 셰일,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종 화석이 풍부하여 그 지역의 고대 지질학적 역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서울의 중심부를 흐르는 한강은 서울의 지질학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강은 수천 년 동안 많은 양의 퇴적물을 퇴적시켜 영양이 풍부하고 다양한 식물과 동물의 삶을 지원하는 충적 평야와 범람원을 만들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서울의 지질은 다양하고 복잡하며, 그 지역의 길고 역동적인 지질 역사를 반영합니다. 그 도시의 기반암, 화산 지대, 그리고 퇴적층은 모두 서울의 독특한 지형의 발전에 기여했고, 오늘날까지 그 도시의 경관과 기반 시설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묘의 풍수 지리적 위치 (0) | 2023.04.20 |
---|---|
경복궁은 조선의 정궁이다 2 (0) | 2023.04.20 |
경복궁은 조선의 정궁이다 1 (0) | 2023.04.20 |
서울의 위치 (1) | 2023.04.19 |
서울 (0) | 2023.04.19 |